Sechawang
세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App
Web
Mobile
프로젝트 설명
앱으로 쉽고 편하게 전문가의 세차 케어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서울, 경기, 지방 대도시(대전, 대구, 부산,제주) 까지 서비스가 진출하였고 월 평균 수입 500만원 이상의 세차원을 배출한 성과가 있습니다. 또한 대기업 및 여러 업체와의 제휴로 사업의 다각화와 성장을 이루었냈습니다.
2022년 말 이후 온라인 서비스 중단
역할
기획 · 디자인 · 프론트엔드 · 이벤트 기획 및 디자인 · 초기 운영 관리
주요 사용 툴
HTML, CSS, JavaScript, Photoshop, Indesign, Illustrator, After effect 등
협업 부서
자사 개발팀
초기 서비스 문제점
· 별도 홈페이지 부재
· 정보 제공 부족으로 인해 세차원 지원자 이탈률 높음
·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요소가 부족하여 전문 서비스로 인식되지 않음
주문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응할 세차원이 부족했으며 전반적인 서비스가 열악했습니다.
기획 방향
1. 홈페이지 설계 및 제작
· 서비스 신뢰도 향상에 초점
· 세차 기사 모집을 위한 단독 섹션 기획
2. 설득형 콘텐츠 구조화
· "왜 이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가"에 대한 타겟 중심 메시지 전략
· FAQ, 지원 절차 시각화, 영상/후기 콘텐츠 삽입
3.모바일 최적화 UI 구성
· 지원자가 스마트폰으로도 간편히 신청 가능하도록 반응형 구조 설계
4.간편 지원 퍼널 도입
·3단계 지원 절차 (기본 정보 → 희망 근무 지역 → 간단한 소개) 도입
개인 역할
1. 웹 사이트 전담 제작 - 기획,디자인,프론트엔드 (90%)
2. 앱 UXUI 수정 (20%)
3. 콘텐츠 기획 및 디자인 (40%)
4. 서비스 초기 운영 관리 2015-2016 (60%)
- 전체적인 운영
- 세차원 지원 정책(세차 물품, 기름 값, 통행료) 제안으로 세차원 모집 유도
- 힐스테이트 제휴 추진으로 고정 수익 확보
성과
웹 사이트 제작, 초기 운영 관리 담당 - 전후를 대비하여 성과를 정리했습니다.
오프라인 아카데미, 전기차 충전, BMW 전시장 제휴 등 사업 다각화 시도
회고
세차왕 프로젝트는 단순한 페이지 개선을 넘어, 서비스 제공의 근간이 되는 ‘세차원 확보’라는 핵심 과제 해결에 집중한 기획 경험이었습니다. 기존에는 별도의 모집 페이지 없이 불명확한 정보와 이로인한 신뢰성 부족으로 지원 이탈률이 높았고, 이는 곧 서비스 운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문제로 이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신뢰 향상을 위한 콘텐츠 제작, 지원자 설득을 위한 콘텐츠 구성, 모바일에서도 가능한 지원 등 전방위적인 UXUI을 기획·디자인·제작 했습니다. 단순히 보이는 화면을 기획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 심리와 서비스 구조의 핵심을 연결하는 실질적인 UX 기획의 가치를 체감한 계기였습니다.
Selected work
[2015 -2025]
